나쓰메 소세키  신경쇠약의 정치학 



 

흔히 천재들을 일컫는 말로 어느 한 분야에 미쳤다라고 표현한다. 우리는 성공을 위해 잠을 줄이고 한 분야에 매진하여 가끔은 미친 상태로 삶을 살아가기도 한다. 생을 빛과 그림자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다 쉰 살의 나이에 운명한 나쓰메 소세키. 그의 인생을 생각하고 있노라면 어쩐지 찬란한 빛보다는 음울한 그림자가 드리워진다.


소세키는 환영받지 못한 아이였다. 친가에서 버려지고, 양가에서까지 버려진 그의 어린 시절은 험난한 중장년기의 인생에 마치 복선을 깔기라도 한 듯 암울하였다. 그는 지병과 함께 힘겨운 학창시절을 보내고 도쿄제대 영문과에 진학하게 된다. 소세키가 영문학을 열심히 공부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가 거기에서 깊은 매력을 느낀 것은 아니었다. 더구나 영문학을 공부할수록 그의 내면에선 불안이 점점 차올랐다. 대학 졸업과 함께 교직을 얻고 결혼생활을 하지만, 그것은 단순히 인간의 삶을 채울 구성요소에 불과하였다.


20세기가 열리고 소세키는 영국행 유학길에 올랐다. 탈아입구[(脫亞入歐, 脱亜入欧 だつあにゅうおう)는 일본 개화기의 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가 일본의 나아갈 길을 제시한 것을 가리킨다. 글자 그대로는 '아시아를 벗어나 서구 사회를 지향한다'는 뜻이다.] 를 강력히 외치던 일본으로서는 당연한 행위이고 근대를 배우기 위한 지름길 이었지만, 그에게는 절망에 빠지는 지름길 이였다. 서구인의 풍채와 선진문명에 주눅이 든 그는 극심한 자기혐오와 서양숭배에 빠졌다. 소세키는 외부의 끊임없는 압박 속에서 자기본위의 정념을 챙겼다. 서양인은 서양의 것, 일본인은 일본의 것을 지키자는 이기적인 속성으로 평생의 이념을 만들게 된다.




영국에서 2년째 되었을 때 그는 극심한 신경쇠약에 빠지게 된다. 당시의 같은 하숙생 이케다 기쿠나에의 영향으로 본격적으로 문학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소세키의 정신병은 날로 악화되었고 유학생들 속에서 그의 정신병에 대한 소문은 빠르게 퍼져 나갔다.


귀국하게 된 소세키는 우연한 창작 권유에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를 집필하고 서른아홉에 문학계의 총아로 떠올랐다. 소세키는 런던 유학시절의 불쾌와 혐오, 어린 시절의 비참함과 슬픔을 소설로써 승화시켰다. 그는 끊임없이 소설을 집필하고 그 힘을 빌려 시대와 문명을 비판하며 인간의 실존을 문제로 삼았다. 소세키는 분명한 문명비판가였고 진보적 문인이었다.


하지만 소세키는 20세기라는 시대에 결부된 근대문명을 결코 순순히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그에게 현대 문명이 위험해보였던 것은 그 문명이 개인개성을 압살하기 때문이었다. 그는 식민지에서의 제국주의적 행동과 천황의 신격화 및 절대화에 대해 반대하지만, 결국 천황이 죽고 황궁을 향해 절을 하는 모습에서 시대의 한계를 벋어나지 못하는 근대인의 모습으로 마무리 되었다. 마지막까지 직위들을 거절하고 자기본위를 지켜나간 소세키는 평생을 따라다닌 지병과 함께 생을 마감하였다.


평생을 투쟁의 길에서 달려온 소세키의 삶은 불안과 불만 속에서 끊임없이 흔들렸다. 유년기의 성장배경, 학창시절의 영문학, 유학시절의 외국문물, 본국에서는 진보와 시대의 한계 속에서 싸웠다. 그는 인생의 작은 부분부터 가장 큰 이념까지도 투쟁하였다. 우리는 소세키의 투쟁의식을 높게 사야할 것인가? 물론 소세키의 삶이 모범이 되는 삶은 아니었다. 하지만 하루하루가 인생의 톱니바퀴에 맞추어진 우리들의 삶속에는 무한하고 찬란한 진취적인 행위를 찾아보기 힘들다. 많은 것을 잃어버리고 있는 세상 속. 우리는 나쓰메 소세키의 정신병과 같은 커다란 자극제로 화려하게 불타오르는 인생의 불꽃을 피워 올려야 한다. 비록 짧지만 세상을 환하게 비추는 불꽃은 주변의 존재들에게는 희망의 온기가, 삶을 포기한 고통스러운 자들에게는 매서운 채찍이 되어 인생을 부추기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 Recent posts